2022. 5. 4. 19:51ㆍ심리학/심리학자
칼 로저스 Carl Ransom Rogers
1902년 1월 8일 ~ 1987년 2월 4일
국적: 미국
업적: 인간중심치료 개발
로저스가 창시한 인간중심 치료-PCT, Person-centered therapy는 기존의 정신병원에서의 명령적 지시적 요법이 아닌, 비지시적 요법으로서, 상담을 위주로 하여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오늘날 흔히 미국 영화에서 나오는 심리치료사와 환자가 자주 만나서 이야기를 하는 방식의 치료가 바로 인간 중심 치료이며, 이를 1940년대에 창시한 것이 칼 로저스다.
로저스와 프로이트 이론의 차이점은,
프로이트는 과거 경험이 현재를 결정한다는 입장이었고
로저스는 현재의 경험세계를 강조하였다.
로저스의 성격 이론은 개인의 독특한, 주관적인 경험을 강조한다.
● 유기체
유기체는 현상학적 장과 자기-self 둘 다를 포함한다.
현상학적 장 : 체험은 몸 안에서 발생하는 일들과 바깥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지각한 것들이며, 의식하거나 의식하지 못하는 체험들의 전체가 현상적 장을 구성한다.
인간은 경험하는 유기체로서 자신을 실현화하기 위한 기본적 동기를 갖고 있다.
“경험은 나에게 최고의 권위다”라고 말했던 로저스는 유기체의 경험을 중시하였다.
● 자기실현 경향성
--자기 자신을 발견하려 하고, 자기 실재가 되려고 하고, 어떤 사람이 되려고 하는 경향성.
로저스의 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은 자기 존중의 욕구, 즉 자기 자신을 합리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려는 욕구이다.
● 자기-self
--개인이 그 자신에 대해 인지하는 특성들의 집합
출생시에는 존재하지 않고, 성장하면서 자기와 비자기를 구분하게 되고, 나이가 들면서 더욱 복잡하고 복합적으로 된다.
자기는 불변의 것이 아니라 부단히 발전을 거듭하게 된다.
-실제적 자기- real self : 나는 어떻다
-이상적 자기- ideal self : 나는 어떻게 되고 싶다
로저스는 실제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와의 심한 불일치는 부적응을 초래하며, 이로 인해 심한 부적응 현상이나 심리적 질환등 큰 타격이 생길수 있다고 하였다.
● 긍정적 존중의 욕구
인간은 타인에게 사랑과 인정을 받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형태의 경험을 합하여
'긍정적 존중- positive regard'라고 한다.
긍정적 존중은 특별한 조건이 없이 이루어질수 있으며, 이런 조건을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이라고 한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 대부분은 '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이다.
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은 다른 말로 '조건부 가치- conditions of worth이다.
● 자기 경험 불일치
사람들은 긍정적 자기 존중을 얻기 위해 타인이 원하는것을 따르게 됨으로써 자신의 경험을 왜곡, 부정하고 자기실현 경향성을 방해하게 된다.
조건부 가치는 결국 조건화된 자기 존중을 낳는다. 즉 자신이 아닌 외적의 준거에 맞는지에 따라 자신의 가치를 평가하게 된다.
자기실현 경향성과 조건부 가치 사이에 갈등이 일어나면 사람들은 자신의 욕구를 나쁜것으로 치부할수 있다.
●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Fully functioning person
로저스는 심리적으로 건강한 사람을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 이라고 불렀다.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이 갖는 성격 특성
* 경험에 대한 개방성
- 조건부 가치에 끌려 다니지 않으므로, 모든 감정과 태도를 경험하는데 자유롭고 위협받는 것이 없으므로 방어할 필요도 없다.
* 실존적 삶
- 매 순간 충실한 삶을 살며 실존의 어느 순간에나 완전히 존재한다. 이들은 새로운 경험에 대해 항상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므로 적응력을 가지고 있다.
* 자기 자신에 대한 신뢰
- 건강한 사람은 자신을 신뢰하므로 자신이 내린 결정 또한 신뢰한다.
* 창의성
- 모든 경험에 대해 개방적이므로 자기 실존의 영역에서 독창적이고 창조적으로 자신을 표현할수 있다.
* 자유감
- 선택이나 행동에 대해 자유롭다.
'심리학 > 심리학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포트 Allport -특성이론 (0) | 2022.05.24 |
---|---|
아들러-Adler 개인 심리학 (0) | 2022.05.08 |
카를 융-Jung 분석심리학 (0) | 2022.05.03 |
프로이트-Freud 정신분석이론 (0) | 2022.04.30 |
비고츠키(Vygotsky) -근접발달 영역 (0) | 2022.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