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를 융-Jung 분석심리학

2022. 5. 3. 20:49심리학/심리학자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

1875년 7월 26일 ~ 1961년 6월 6일 

국적:스위스 

직업: 정신의학자, 분석심리학의 개척자 

 

 

주요 용어

 

의식 과 무의식- 개인 무의식, 집단 무의식 

 

원형

페르소나, 그림자,아니마, 아니무스, 자아,자기, 콤플렉스

 

 

 

 

 

융의 이론에서도 리비도가 나오지만 프로이트의 리비도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프로이트의 리비도는 성적 에너지라고 주장하지만 

융의 리비도는 일반적인 생활 에너지라고 주장하였습니다. 

 

공통된 부분은 두분다 무의식에 강조를 두었습니다.

 

차이점은 리비도에서 뿐만 아니라 , 무의식에 대한 견해도 차이가 있었습니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을 원시적 충동과 갈등의 저장소로 간주하였고, 

융은 개인의 무의식뿐만 아니라 집단 무의식을 강조하며, 집단 무의식을 조상들의 공동 경험과 지혜가 축적된 집적체이자 인간 잠재력의 보고로 높이 평가 하였다. 

 

무의식을 대하는 방식도 달랐습니다.

 

프로이트의 무의식은 의식에 의해 억압된 것이라면, 

융은 인간은 무의식의 중심에 있는 자기-self 를 찾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정신의 구조

 

의식-conscious : 자아-ego

사람은 자아를 통해 자신을 외부에 표현하고 외부현실을 인식한다. 

 

개인 무의식-personal unconscious: 개인에 의해서 억압(망각)되어 생긴 무의식 

   *프로이트의 의식과 전의식을 포함한것이 융의 개인적 무의식이다. 

   *개인적 무의식은 자아가 위험하다고 판단하거나 , 부주의한 결과, 의식으로 보내지 않은 개인 경험의 잔재.

 

집단 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 : 개인에게는 통상 의식되지 않는 선천적인 무의식제

 

   집단무의식은 개인의 경험이 아니라 사람들이 역사와 문화를 통해 공유해온 모든 정신적 자료의 저장소, 즉 유전된 성격 토대이다. 

 

   집단 무의식의 중심에는 자기-self 가 존재하며 마음의 모든 측면들이 통합되면 그때서야 자기를 실현할수 있습니다. 

 

 

원형-archetype: 커다란 정서적 요소를 내포하는 보편적인 사고나 관념. 

 

원형의 종류 

 

페르소나: 고대 그리스의 연극에서 배우들이 쓰는 가면을 뜻하는 라틴어입니다. 

                인간이 여러 가면을 갖고 있는데요, 친구를 대할때, 가족을 대할때, 직장에서도 또 다른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인간은 여러개의 페르소나를 갖고 있습니다. 

 

그림자 : 마음이 어둡고 사악하고 동물적인 측면, 사회적으로 용납 될수 없는 성적 충동과 공격적 충동, 비도덕적 사고와 열정 등을 포함합니다. 

 

그림자는 의식의 바로 뒤에 있는 것으로, 의식하지 못했을뿐, 처음부터 있었다고 하였습니다. 

 

그림자는 원래부터 부정적이고, 열등한것은 아니라 그늘에 가려져 있을뿐입니다. 

 

우리가 해야 하는 것은, 그림자를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으로 끌어내여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아니마-anima :남성적인 면

 

● 아니무스- animus : 여성적인 면

 

인간은 예로부터 남자와 여자가 같이 지내왔으며, 그리하여 남자에게도 여성적인 면이 있고, 여성에게도 남성적인 면이 있다고 합니다. 

 

남성의 아니마는 어머니의 영향을 받고, 여성의 아니무스는 반대로 아버지의 영향을 받습니다. 

 

● 자아-ego : 자아는 의식세계의 중심.

 

● 자기- self : 마음의 핵심. 모든 요소들이 자기를 둘러싸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 콤플렉스 - complex: 우리 마음속의 가시같은 존재. 프로이트의 억압을 콤플렉스라고 하였다. 

 

콤플렉스는 하나가 아니고 여럿이며, 무수히 많은 체험이 무수히 많은 콤플렉스를 만든다.

 

콤플렉스의 기원은 흔히 외상, 정서적 충격 등과 같은 것들이며, 이로 인해 한 조각의 정신이 떨어져 나간것이다. 

 

또한 도덕적 갈등이 콤플렉스의 가장 흔한 원인이기도 하다.

 

 

 

융의 태도유형

 

의식의 일반적인 태도, 융은 태도유형을 외향성과 내향성으로 구분하였다.

 

외향성:환경이나 타인에 개방적이며 사교적인 태도,

         

         자신의 주관적 견해보다 타인들의 의견이나 객관적 조건이 외향적인 사람의 판단과 행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내향성: 환경이나 타인에 부정적이고 방어적인 태도 

        

          내향형은 바깥세계의 요구에 맞서 자신을 지키고 에너지 지출을 가능한 한 아낀다.

 

외향성과 내향성은 타고난것으로 보았다. 오히려 부모나 환경에 의해 태도 유형이 왜곡되기도 한다. 

 

** 예를 들면, 내향적인 자녀와 외향적인 부모, 이때 외향적인 부모가 자식에게 외향적으로 살도록 강요할 경우 이 자식은 자기가 원래 가진 유형이 왜곡 되므로 신경증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융의 기능 유형

 

기능 유형은 합리적 기능과 비합리적 기능으로 구분된다.

 

합리적 기능

 

★ 사고 기능: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인간의 고나념적이며 지적인 기능.

 

★ 감정 기능: 좋고 나쁨, 편하고 불편함을 판단하는 기능

 

 

비합리적 기능

 

★ 감각 기능: 감각기관들을 통하여 외적, 내적 자극들을 보거나 듣는 것.

 

★ 직관 기능: 무의식을 통한 감각, 가능성의 지각.

 

 

MBTI- The Myers- Briggs Type Indicator

--융의 심리유형론에 입각하여 마이어스와 브릭스는 개인의 성격적 특성을 연구한 결과 MBTI검사를 개발하였다. MBTI 검사는 인간의 성격 특성을 16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